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 승객들이 숨가쁨 증세로 쓰러져 사태의 근본 배경에 귀추가 주목된다.
2019년 개통한 김포 골드라인은 2량 편성열차만 통과하는 노선이다.
지자체가 구체적인 재정계획 없이 열차 개통을 추진하면서 수요 예측에 실패하고 예산 부족으로 2량만 운행할 수 있는 ‘미니 플랫폼’을 구축해 추가 열차를 통한 혼잡 개선은 꿈도 꿀 수 없게 됐다.
사이. 김포시는 당초 경전철이 아닌 김포골드라인을 김포, 9호선 대형전철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막대한 예산 투입으로 경제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돼 무산됐다.
또한 사업방향을 경전철로 변경한 후에도 예비타당성조사 등으로 사업지연의 우려가 있어 조속한 추진을 위한 정부자금을 받지 못했다.
이는 재정적인 부담으로 돌아왔고, 결국 김포시는 당초 계획했던 4량에서 2량으로 열차의 크기를 줄이고, 2량(33m) 규모에 맞춰 역 승강장을 설치해 열차 수를 늘리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김포 골드라인은 출퇴근 시간에 승객 172명을 두 배 이상 늘렸고 승객들은 숨가쁨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열차가 갑자기 정차하는 등 비상시에는 ‘이태원 참사’와 같은 압사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포골드라인’의 해법은?
김포골드라인의 일평균 이용객은 예상 이용객의 70% 수준으로 이용객은 기대 이하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용자는 출퇴근 시간에 특히 집중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은 무엇입니까?
김포골드라인의 혼잡 해소책으로 출퇴근 시간 차량과 셔틀버스를 증설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전 지하철과 관련된 ‘셔틀버스’ 운영 사례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사례는 1996년 12월 말 2호선 당산역과 합정역 사이의 당산철교가 교량 안정성 문제로 철거된 사건이다.
그리고 이때 2호선 당산역에서 홍대역까지 셔틀버스가 운행되고 있었다.
이때 셔틀버스는 무료였고, 당산역에서 홍대입구역까지 제한된 구간에서만 운행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차량 수를 줄이고 도로 이동 속도를 높이거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도입하거나 일부 지역에만 정차하는 새로운 버스 노선을 신설하고 고속으로 작동합니다.
수단을 만들어야 합니다.
김포골드라인의 경우 2량으로 운행하고 공사비 절감을 위해 역의 규모를 늘리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지만 다수의 아파트 공급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김포골드라인 정체.
또한 2019년 9월 김포골드라인이 개통되었는데 김포골드라인의 혼잡문제는 코로나19 이슈가 불거진 비대면 활동이 많았던 시기와 달리 문제가 거의 사라진 2022년 하반기부터 사람들의 대면 활동 증가. 동시에 부각되었을 뿐인 것 같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김포시의 인구가 증가할수록 더 커질 것입니다.
김포시는 김포한강신도시 외에도 더 많은 사람들이 찾는 ‘김포한강2신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걸포 북변역 인근 북측 4지구 등 공급아파트가 추가로 들어서면서 김포골드라인 출퇴근 시간 혼잡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김포골드라인의 정체는 김포의 한계를 보여준다.
김포골드라인은 서울과의 정시성과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교통망이며, 인천검단지구 문제로 5호선 연장과 gtx-D 등 추가 교통망 공사가 계속 지연되고 있다.
그리고 김포 골드라인이 출퇴근 시간에만 붐빈다는 것은 김포 직장보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서울의 경우 결혼 후 집값과 전셋값 부담으로 젊은 부부가 학령기 자녀를 비교적 저렴한 생활비로 교육할 수 있는 김포 등 인근 지역으로 이사하는 사람이 많다.
근본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기업 등의 일자리가 김포에 창출되어야 하는데, 대기업은 서울과 수도권 동남쪽에 밀집되어 있는 경향이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지역간 격차가 더 벌어지는 것 같다.
김포부동산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