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수고한 여러분 행복하세요?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 즉 삶의 방향, 삶의 가치, 철학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고 고민합니다.
그러나 빠른 답변을 드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왜? 어떻게 해야 답변을 빨리 받을 수 있나요? 답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니코마코스의 윤리학을 통해 살펴보았다.
최근 행복에 대한 논의의 뿌리로 가면 아리스토텔레스가 있습니다.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어떤 삶이 바람직한지, 좋은지에 대한 고대 그리스 철학의 정수를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기하는 핵심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떻게 살고 있습니까? 어떤 삶이 가치 있는 삶인가?”라는 질문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의 관심을 끄는 중요한 질문입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제목 윤리에 걸맞게 가치 판단을 한다.
어떤 윤리적 방향으로 기술되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모든 인간 활동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이라고 주장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란 미덕에 따른 활동, 인간 자신의 능력이 탁월하게 발휘되는 성격 상태라고 주장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통해 행복이 무엇인지, 그 행복을 어떻게 성취할 수 있는지, 어떤 지식이 필요한지 매우 체계적으로 논한다.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을까
학습, 습관화 또는 기타 연습을 통해 행복이 올 수 있습니까? 아니면 하나님이 주신 것인가, 우연한 것인가? 하나님이 사람에게 무엇인가를 주실 때 행복은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행복은 인간 세상에서 가장 좋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주제는 다른 곳에서 다루는 것이 더 적절할 것입니다.
그러나 행복은 신이 부여한 것이 아니라 미덕과 일종의 배움이나 훈련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하더라도 확실히 가장 신성한 것 중 하나입니다.
미덕의 보상과 그것이 추구하는 목적은 틀림없이 세상에서 최고이며 신성하고 축복받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도 행복을 함께 나눌 수 있습니다.
미덕에서 멀지 않은 사람은 누구나 약간의 배움이나 개인적인 노력을 통해 행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너무 행복한 것이 우연히 행복한 것보다 낫다면 그렇게 믿는 것이 이치에 맞습니다.
자연의 산물은 본질적으로 가능한 한 고귀하고 기술 및 기타 원인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최상의 원인의 결과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미래를 알 수 없지만 그 행복은 목표이며 궁극적으로 모든 면에서 궁극적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살아있는 사람들 중에서 위의 자질을 가졌거나 가질 사람이 인간으로서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야리스토텔레스가 정의한 행복의 개념은 우리가 알고 있는 행복과는 많이 다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행복은 감정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맛있는 음식을 먹고,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아름다운 곳을 여행할 때 행복하다는 감정 상태입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행복은 감정 상태가 아니라 활동이다.
행복이 마음가짐이라면 평생 잠만 자고 식물 같은 삶을 사는 사람이나 큰 불행을 겪은 사람이 행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것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제가 말했듯이 우리는 행복을 활동으로 분류해야 합니다.
일부 활동이 필요하지만 다른 이유로 바람직하고 다른 활동이 그 자체로 바람직하더라도 행복은 분명히 그 자체로 바람직한 활동 중 하나이지 그렇지 않은 활동에 속하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들 때문에 바람직합니다.
행복은 다른 것이 필요 없고 자급자족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바람직한 활동은 그 자체로 활동 외에는 아무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 활동이기 때문에 우리가 소나 말이나 다른 어떤 동물도 행복하다고 부르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어떤 동물도 그런 활동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이유로 아이도 행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아이들이 그러한 활동을 하기에는 너무 어리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아이를 행복하다고 부르는 것은 그들의 잠재력 때문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인간의 독특한 특징은 무엇입니까? 인간만이 가지고 있고 다른 비인간 생물에게는 없는 특성은 무엇입니까? 이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대답은 지성입니다.
오직 인간만이 지적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성은 인간의 존재를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러므로 지성 이후의 삶, 관상적인 삶이 가장 좋고 가장 즐거운 삶입니다.
즉, 아리스토텔레스는 완전한 행복이 명상적인 삶이라고 말합니다.
인간의 기능을 이해하면 행복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습니다.
모든 종류의 플루트 연주자, 조각가, 장인, 특정 기술을 가지고 있거나 특정 직업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의 명료함과 행복은 그러한 기술을 발휘하는 데 있으며, 사람들 자신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목수나 잡화공은 일정한 기술이 있고 특정한 일을 하는데 인간은 그런 기술이 없고 어떤 기술도 가지고 태어나지 않습니까? 아니면 눈, 손, 발, 모든 팔다리에 특정 기능이 있는 것처럼 사람에게 이러한 모든 기능 외에 특정 기능이 있습니까? 그런 기능이 있다면 어떤 기능일까요? 그런데 생명은 식물의 공통 기능이지만 우리가 찾는 것은 인간 고유의 기능입니다.
따라서 영양 및 성장 생명은 우리의 정의에서 제외됩니다.
그리고 말과 다른 모든 동물들에게도 공통적인 관능적인 삶이 있습니다.
그래서 남은 것은 이성적인 부분의 능동적인 삶이다.
합리적인 부분은 다시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하나는 이성에 부합한다는 의미에서 합리적이고 다른 하나는 이성에 따라 생각한다는 의미에서 합리적입니다.
삶의 이성적인 부분도 두 가지 의미가 있기 때문에 활동적인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음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이는 용어의 원래 의미에 더 가깝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기능이 이성적 원리를 따르거나 내포하는 뇌-뇌 활동이라면, 그리고 키타라 선수, 좋은 키타라 선수 등의 경우처럼 그래서 기술의 이름에 후자의 탁월함을 더한다면, 그리고 만약 우리는 인간의 기능을 특정 생명, 영혼의 합리적 활동 또는 일련의 행동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면 좋은 인간 기능은 그러한 행동을 잘 수행하는 것이며 모든 것은 적절한 미덕으로 수행될 때만 인간의 선함입니다.
덕에 합당한 영혼. 이러한 영혼의 활동은 평생 지속되어야 한다.
제비 한 마리가 날아온다고 하루아침에 봄이 오는 것이 아니듯이 사람도 하루아침에, 짧은 시간에 행복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행복은 최고의 선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행복은 최고의 선이다.
최고선, 최고선은 무엇입니까? 아리스토텔레스는 객체의 기능에서 이 “좋은 것”을 도출합니다.
행복은 사물의 고유한 기능이 제 역할을 할 때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시력이 좋다고 하면 어둡거나 빛나서가 아니라 잘 보이기 때문에 시력이 좋은 것입니다.
그리고 어떤 조각가가 좋은 조각가라면 그 조각가는 잘생겨서가 아니라 조각을 잘해서 좋은 조각가인 것이다.
있다면 어떤 사람이 좋은가요? 모든 인간의 삶이 좋은 삶이라고 어떻게 말할 수 있습니까? 이것은 지적인 명상 활동이라는 인간 고유의 기능이 능동적으로 발휘되는 탁월한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복이 유덕한 활동이라면 최고의 미덕에 합당해야 합니다.
최고의 미덕은 우리의 가장 좋은 부분의 미덕이 될 것입니다.
여기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 개념과 현대인의 행복 개념 사이의 간극이 열린다.
무엇이 “좋음”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 차이가 있습니다.
‘정말 좋은 게 뭐지?’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에서 선이란 타인의 입장에서 그런 객관적인 상태를 의미하며, 현대인의 입장에서 선은 마음속에 있는 것이 좋다고 느끼는 감정 상태를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과 우리의 행복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은 삶의 순간순간 발생하는 감정적 상태라기보다는 활동이며, 일생 동안 어느 정도 발생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동의하십니까?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대한 생각은 매우 훌륭하고 고상하며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현대인의 눈으로 보면 그 간극이 너무 큰 것이 사실이다.
‘이게 무슨 행운이야?’ 이런 답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배우면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행복의 정의와 교차점을 파악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
이것으로부터 우리 삶에 대한 생산적인 의미를 어떻게 도출할 수 있습니까? 좋은 방법은 우리 자신의 행복 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숭고한 논의를 결합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행복에 대한 우리의 이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관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습니까? 현대인의 관점에서 행복이란 삶의 모든 순간을 살아가며 숨쉬며 느끼는 감정적 상태이다.
즉, “모든 인간의 마음에 있는 것은 행복”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차원에서 일생 동안 일어나는 활동인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 개념과 타협하면 어떨까? 지적 호기심이 강하고 탐구하고 배우는 자세, 긍정적인 인생관으로 자아실현과 공동체 헌신을 균형 있게 유지하면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일상을 살아가며 법생활의 틀 안에서 법적인 즐거움을 마음껏 누리는 삶 딱딱한!
그것이 삶의 가치 있는 방향이 아닐까요?